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신용대출 최대 1,000만원 조건, 자격 알아보기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하위 10% 저신용자들을 위해 정부에서 대출 보증을 서주고 1천만 원 한도로 빌려주는 정부지원 신용대출 상품입니다. 햇살론15 이용이 어려운 최저신용자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지원대상, 지원내용, 취급처 등에 대해 확인해 보세요.

이미 많은 분들이 저신용자 정부지원 신용대출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매월 조기접수가 되는 만큼 빠르게 내용 확인하여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신용대출 상품을 이용해 보세요.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이란?

정부에서 보증을 서주며 하위 10% 저신용자들에게 최대 1천만 원 한도로 대출을 해주는 신용대출 상품입니다. 저신용자 분들이 불법사금융으로 인해 피해를 받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정책서민 금융상품인 햇살론15 이용이 어려운 최저신용자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보증부 정책 서민금융 상품입니다.

지원대상

저신용자들을 위한 서민금융상품인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상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크게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햇살론15 거절
    먼저, 햇살론15를 신청해 본 후 연체경험 등의 사유로 보증이 거절된 분들만 해당됩니다.
  • 개인신용평점
    개인신용평점 하위 10%
    * 23년 4월 기준 KCB 670점 또는 NICE 724점 이하
  • 연소득
    4천5백만 원 이하

지원내용

  • 대출한도: 동일인 최대 1,000만 원
    * 최초 이용 시 최대 500만 원 이내, 6개월 이상 정상이용 시 추가대출 1회 가능

    대출은 1인 최대 1천만 원 한도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번에 1,000만 원을 받을 수는 없고 우선 처음 받을 때는 최대 500만 원 이내로 대출을 받은 후 6개월 동안 성실하게 대출 상환을 진행하면 추가대출 1회를 더 받아서 최대 1,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적용금리: 연 15.9% (보증료 포함, 단일금리)
  • 대출기간: 거치기간 1년(선택) + 상환기간 3년 또는 5년
  • 우대금리: 상환기간 중, 성실상환 시 1년마다 금리인하
    (3년 선택 시 3.0% P씩 인하, 5년 선택 시 1.5% P 씩 인하)
    성실 상환을 할 경우 1년마다 1.5% ~ 3.0% 까지 금리 인하가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3년 상환을 성실하게 할 경우 마지막 상환 기간에는 10% 이하의 금리로 대출을 받는 셈이 됩니다.
  • 상환방법: 원리금균등 분할상환
  • 반복이용: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상환 완료 시 횟수 제한 없이 반복 이용 가능
    즉, 대출 실행 금액을 모두 상환할 경우 최대 1,000만 원 한도로 반복하여 이용이 가능합니다.
  • 추가대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6개월 이상 정상이용 시 추가대출 1회 가능
    * 복수의 대출이력이 있는 경우 각 계좌의 누적 성실상환기간을 모두 합산하여 산정 (완제 포함)
    * 추가대출의 자격요건을 최초대출의 자격요건에 따름
서민금융진흥원 어플에서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신용대출 신청하기 배너 이미지


<참고글>
햇살론 유스 부결 사유 Top10, 재대출 총정리
신생아 특례대출 조건, 금리, 한도, 신청 방법까지
비상금대출 거절 사유, 거절 시 대안
토스 비상금대출 조건, 한도 최대 300만원
소상공인 대환대출 프로그램 신청방법, 최대 6.5% 저금리 대환대출
간편하게 대출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 금리 1% 라도 낮추는 방법

취급처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상품은 서민금융진흥원 어플 (이용이 어려울 경우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을 통해 보증신청 후 협약 금융회사 어플 또는 창구를 통해 대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스마트폰 미보유자 이거나 본인명의 핸드폰 미소지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일 경우 1397 서민금융콜센터를 통해 가까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 예약 후 오프라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취급 은행>
– 취급 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웰컴저축은행, DB저축은행,우리 금융저축은행, NH 저축은행
– 취급 예정 은행:하나, 신한, IBK 저축은행 (10월), BNK, KB저축은행 (12월)


현재는 광주은행, 전북은행, 웰컴저축은행, DB저축은행 (서울거주자 한함), 우리금융저축은행, NH저축은행에서 대출 신청이 가능하나, NH저축은행은 한도 조기소진된 후 추가 계획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5곳에서만 가능합니다.

10월부터는 하나, 신한, IBK 저축은행, 12월부터는 BNK, KB저축은행이 새롭게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을 취급할 예정입니다.

지금은 매월 신청 시작하자마자 조기소진이 되고 있는데요. 취급 예정 은행들이 증가됨에 따라 신청이 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전국 41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의 위치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위치 표 이미지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이용방법

  1. 서민금융 진흥원 어플 접속
  2. 자격조회 및 보증신청
  3. 금융교육 이수
  4. 보증약정 체결
  5. 협약은행에 대출신청
  6. 대출실행

마무리

이상 오늘은 저신용자 분들이 이용하실 수 있는 정부지원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상품에 대해 안내드렸습니다. 오늘 공유드린 내용을 참고하시어 생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제 출시 1년이 지난 최저신용자특례보증은 계속해서 오픈런 대출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습니다. 금융사가 비용부담을 이유로 등을 돌리고 있어 최저신용자가 돈을 빌릴 수 있는 은행이 없어서 입니다.

매달 거의 첫 날 마감이 되기 때문에 필요하신 분들은 꼭 가장 최우선으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